유니티(Unity) 가격 및 구독 플랜 비교(무료, 플러스, 프로)
Unity는 학생이나 개인개발자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팀 단위나 기업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프로 라이선스를 구매해 사용해야 한다.그 동안 로열티가 없었지만 앞으로는 설치에 대한 런타임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구독 라이선스 종류별 기능과 가격에 대해 알아보고, 이번에 신규 추가된 런타임 요금제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자.
*런타임 비용 관련 사항*
그동안 출시 후 로열티가 없었던 Unity가 이제 로열티를 내야하는 Unity Runtime 요금제로 2024년 1월부터 변경된다고 한다. Unity로 개발하는 개발사들의 큰 이슈일 것 같은데 관련한 요금제도 함께 알아보자.
Unity 가격 정보 및 구독 플랜 비교
학생 및 개인의 무료 구독 플랜
Unity 구독 플랜 중 학생 및 개인에게는 Unity의 무료 구독 플랜으로 자유롭게 유니티를 사용할 수 있다. 단 무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학생의 경우 공인된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만 16세 이상의 학생으로서 개인정보 수집 및 처리에 동의할 수 있는 학생이 이용 가능하다.
- 개인의 경우 지난 12개월 동안 약 $100,000(약 1억 3천만 원) 미만의 수익 또는 자금 조달인 경우 이용 가능하다.
참고로 무료 구독 플랜의 경우 유니티에서 제공하는 스플래시 로고가 앱(게임) 시작 시 강제로 뜨게 된다. 유니티 로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한 단계 상위 플랜인 플러스 이상 구독이 필요하다.
무료버전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크게 5가지 정도이다.
- Unity 개발 플랫폼 사용
- Unity 비주얼 스크립팅 기능(코드 없이 노드 방식으로 개발 지원하는 기능)
- Unity 버전 제어 기능(사용자 3명 및 5GB 스토리지)
- 충돌이나 익셉션 상황에 대한 오류 리포트를 받을 수 있는 기본 클라우드 진단
- 유니티 광고 및 인앱 기능을 통한 수익창출
무료 버전에서는 수익화 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일정 수익이 나기 전까지 개인 개발자는 무료 플랜으로 시작해 볼 수 있다.
유니티 플러스(Plus) 구독 플랜
유니티 플러스(Plus) 구독 플랜은 소기업과 개인 개발자 등에서 사용 가능한 플랜이다. 지난 12개월간 수익이 $200,000 미만인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유니티 플러스 버전은 무료 버전에서 가장 큰 단점인 스플레시(유니티 로고)를 제거하고, 자신의 브랜드 스플레시를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니티 플러스(Plus)의 가격정책은 연간 구독 비용으로는 $399달러이며, 월간 구독 비용으로는 $40 달러로 구성되어 있다. 원화로 환산하면, 연간 약 479,990원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유니티 플러스 구독 버전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무료 버전에서 아래와 같은 기능이 추가로 제공된다.
- 스플래시 화면을 사용자 정의(Unity Logo 제거)
- 충돌이나 익셉션 상황에 대한 오류 리포트를 받을 수 있는 방대한 클라우드 진단
*최근 추가된 정책으로 Unity Plus 구독은 없어진다고 합니다. Unity Personal 계정에도 스플래시가 없어진다고 하니 참고바랍니다.
유니티 프로(Pro) 구독 플랜
유니티 프로(Pro) 구독 플랜은 수익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구독 플랜이다. 일반 기업 및 $200,000 이상 매출이 발생하는 소기업에서는 유니티 사용 시 Unity Pro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Pro 구독 플랜에서는 Unity Mars(AR 기능)와 Unity Havok 피직스 같은 고급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유니티 프로(Pro)의 가격은 연간 구독 비용으로는 $2,040 달러이며, 월간 구독 비용은 $185 달러로 구성되어 있다. 원화로 환산하면, 연간 약 2,550,000원 가격으로 구독 가능하다.
유니티 프로(Pro) 구독 버전에서는 유니티 플러스(Plus)의 모든 기능에 아래와 같은 기능이 추가로 제공된다.
- AR/MR용 Unity Mars 저작 도구 제공
- Unity용 Havok 피직스 물리엔진 제공
- 라이선스 및 ID 관련 고객 서비스를 위한 우선 지원
- 파트너 고문(직접적인 문제 해결 도움을 받을 수 있음)
대규모 팀을 위한 기업용 라이선스
Unity의 대부분 기능은 Pro 구독 플랜으로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엔진 소스까지 건드려야 하는 상황이 필요한 경우(대규모 팀에서 큰 프로젝트 진행 시)에는 Unity 소스까지 볼 수 있는 기업 전용 라이선스도 판매를 하고 있다. 이 라이선스는 따로 가격정책이 정해지진 않고 유니티에 문의 후 견적을 받을 수 있다.
해당 라이선스는 기업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지원을 포함하며,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옵션 등도 포함되어 있다.
유니티 Runtime 라이선스
앞으로 유니티도 런타임 라이선스 제도가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공개된 런타임 라이선스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항목 | Unity Personal | Unity Pro | Unity Enterprise |
매출기준(USD) | USD 200,000 (한화 2억 6천만원) |
USD 1,000,000 (한화 13억 수준, 최근 12개월) |
USD 1,000,000 (한화 13억 수준, 최근 12개월) |
설치 횟수 기준 | - | 1,000,000회(총 누적 설치 횟수) | 1,000,000회(총 누적 설치 횟수) |
Unity 버전 | Unity 2023 LTS 이상일 경우 | Unity 2023 LTS 이상일 경우 | Unity 2023 LTS 이상일 경우 |
런타임 적용 여부 | 매출 기준 이상일 경우 프로버전 구독해야 함 |
적용 | 적용 |
일단 런타임 비용을 추가로 내야되는 상황을 정리해보면 유니티 프로버전 이상 구독과 최근 12개월 매출이 13억원 이상이고, 설치 사용자가 100만 이상이면서 유니티 2023 LTS 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대상이 된다.
만약 해당 케이스에 충족하신다면, 라이선스 비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계산해보실 수 있다.
유니티 구독 플랜 정리 및 런타임 요금제에 대한 생각
지금까지 유니티(Unity)의 다양한 구독 플랜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리를 해보면, 수익이 나기 전 개인 개발자라면, 무료 플랜이나 플러스 플랜으로 개발하면 되며, 기업에서는 프로(Pro) 구독 플랜을 사용해야 한다. 참고로, 유니티(Unity) 라이선스(구독)는 PC 2대까지 활성화가 가능하다. 1인당 1 구독 플랜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니 구독 구매 시 주의해야 한다.
2024년부터 런타임 요금제가 도입되기 때문에, 회사 매출 기준과 프로젝트 설치 수를 잘 고려해보면서 유니티를 도입할지 부터 잘 생각을 해야 할 것 같다. 런타임 요금제 대상이 된다면 계산기를 통해 미리 예상 수수료를 계산해보는게 좋다.
솔직히 런타임요금제를 도입할거면 에디터 비용을 받는건 불합리하다고 생각이 든다. 에디터 라이선스 비용까지 받으면서 설치 당 로열티까지 받는 건 언리얼에 시장을 다 내준다고 생각이 든다. 앞으로 언리얼 점유율이 더 올라기지 않을까...
댓글